“외관·가격까지 다른 수출용 쏘렌토…이게 진짜 역차별 아닙니까?”

0

쏘렌토 논란 뭇매
국내차 차별
해외 국내 품질차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속담이 있다. 소비자들에게 있어 이 속담은 아마 믿는 거래처나 가게에서 불쾌한 대접을 받았을 때 제일 와 닿지 않을까 싶다. 비슷한 맥락에서 국산 제품과 해외 제품 중 고민 중 큰맘 먹고 국산 제품을 구매했지만, 품질이 형편없을 때도 언급한 속담이 떠오를 것이라 생각한다.

이 같은 현상은 가전제품부터 시작해서 식품까지 광대한 범위의 수출제품들이 국내용 제품과 차이를 보인다는 소식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심지어 이미 자동차 시장에서는 10년 전부터 같은 양상을 보였다고 하는데 이 같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에어백 대란
소비자들 뿔나다

내수용 자동차와 수출용 자동차의 차이점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2011년 현대 자동차의 미국·유럽으로 수출형과 내수형 모델의 에어백의 기능 문제였다. YF쏘나타에 적용된 에어백이 수출용 쏘나타와 다르다는 점에서 문제가 불거졌다.

내수는 이른바 디파워드 에어백, 수출용은 승객의 무게와 충돌 속도를 감지해 에어백의 팽창 속도를 조절하는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현대차는 여론의 집중포화를 맞았고, 결국 LF쏘나타로 바꾸면서 내수와 수출 모두에 어드밴드스 에어백을 넣었다.

기아 쏘렌토, 싼타페
국가 간 차등 둔 것

기아 또한 역차별 논란을 피해 갈 수 없었다. 2014년 출시된 기아차의 국내 출시 모델과 북미형 수출 모델은 다른 점은 디자인, 타이어, 방향 표시등, 스페어 타이어의 유무 등이 있었다. 스페어타이어의 경우 개도국으로 수출하는 차량의 경우 설비가 타 국가에 비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 여분의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라 밝혔다.

디자인의 경우는 쏘렌토는 범퍼 하단부와 프로텍터의 형태가 미비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싼타페는 수출형엔 3.5리터의 가솔린 엔진이 적용된다는 것이었고, 내수시장엔 신형 2.5리터 세타 3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했다는 것이었다. 관계자들은 이런 차이에 대해 소비자 입장에선 차별이 아니냐고 말을 할 수도 있지만 각 국가에 맞게 현지화를 거친 모델이기 때문에 철저한 검증 후 출품이 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 바보로 보이나
대기업 정신 못 차려

하지만 아직 소비자의 반응은 차갑다. 국가 간의 이러한 차등에 대해 네티즌들은 “겉이 중요한 게 아니다 범퍼, 문짝 이런 데서 철빔 한 두 개씩 빼는 게 문제지.”, “국내도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 등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4
+1
5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