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친 한국 자동차 시장
경쟁에서 밀려나 철수한 브랜드
스바루, 사브, 알파 로메오
많은 한국인이 간과하는 사실이지만, 한국의 자동차 시장은 매우 높은 수준을 형성해왔고, 지금도 매우 견고하다. 이는 단순히 탄탄한 기반을 다진 국내 브랜드뿐 아니라, 다양한 해외 브랜드가 경쟁과 품질 개선을 반복하며 각축장을 벌이는 시장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자동차 소비율과 안목이 높은 한국의 특성 때문인지, 아니면 품질과 디자인, 기업 이미지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하는 소비자들 때문인지, 다른 시장에서의 성공이 꼭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담보하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 오늘은 한국 시장에서 실패했던 해외 자동차 브랜드들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한국에선 고배 마신
‘스바루’
스바루는 일본 내에서도 가장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는 브랜드이다. 일본 국내 시장뿐 아니라 특히 북미 시장에서 괄목할 성적을 냈으며, 여기에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낮은 감가상각을 보이는 브랜드로 유명세를 떨쳤다. 대표적인 모델로는 중형 세단인 레거시가 있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는 토요타나 혼다와는 달리 별다른 활약 없이 퇴장 수순을 밟았다. 지난 2010년 스바루는 국내 진출을 공식화, 몇 달 뒤 바로 판매를 시작했지만, 바닥을 기는 판매량으로 진출 3년 만인 2012년 말 철수를 결정했다. 플래그십이었던 레거시 역시 국내에서는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는데, 레거시가 진입하려던 중형 세단 시장이 이미 포화 상태였기 때문이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유럽 특유의 높은 품질
스카니아로 남은 ‘사브’
북유럽 자동차 브랜드의 명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높은 안전성과 안정적인 성능은 이미 국내에 진출,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은 볼보가 증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외의 북유럽 브랜드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알지 못하는데, 스웨덴의 자동차 명가인 사브 역시 국내에 일찍이 진출을 시도했었다.
사브가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한 것은 1992년부터였으며, 준대형 세단이었던 9000이 특히 인기 모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IMF와 일본, 독일 브랜드의 본격적인 국내 진출이 이어지면서 점차 밀리기 시작했다. 당시 사브에서 판매했던 모델인 9-3, 9-5는 대부분 경쟁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민망한 수준이었고, 2009년 GM의 파산과 함께 국내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이탈리아 자동차의 명예
한국에선 못 지킨 ‘알파 로메오’
알파 로메오는 1910년에 설립,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많은 소비자에게 사랑받아왔다. 특유의 멋진 엔진음이 트레이드마크인 알파 로메오는 피아트와 함께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브랜드였다. 물론 이는 유럽 시장에 한정했을 때의 이야기이다. 대표적인 모델로는 SUV 플래그십인 스텔비오가 있다.
알파 로메오는 국내에 처음 진출했던 1996년, 사브처럼 IMF의 여파를 직격탄으로 맞았는데, 한국 수입을 맡았던 한보그룹이 부도를 맞이하면서 말 그대로 ‘한’ 대도 판매하지 못하고 철수하고 말았다. 현재는 알파 로메오의 모기업인 스텔란티스가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지프에 집중하게 되면서, 여전히 알파 로메오의 국내 진출은 다시 한번 요원한 일이 되었다.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국내 시장
사실 국내 시장에서는 여러 공룡 브랜드들도 맥을 추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포드 역시 익스플로러를 통해 국내에서 힘을 쓰게 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며, 일본 브랜드들 역시 노재팬으로 궤멸적인 피해를 입고 회복세에 들어선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다양한 브랜드가 다양한 이유로 국내 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반대로 이는 국내 시장이 높은 수익률과 동시에 다양한 변수와 리스크가 수반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시장이라는 점을 방증하기도 한다. 따라서 많은 브랜드가 위험을 감수하고서 국내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나은 품질과 옵션을 늘 고민한다. 정작 국내 소비자들은 이러한 해외 브랜드의 노력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이기는 하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