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 80M인데… 해저터널에서 물 새는 장면 포착됐습니다

13

벽에 물자국 발견된
보령해저터널
어떻게 된 일일까?

해저터널은 현대 건축 기술의 정수 중 하나이다. 가장 첨단 건축 기법이 사용되며, 그 규모도 일반 빌딩들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크다. 하지만 ‘해저’라는 이름 때문일까, 터널에서 물이 새서 그대로 잠기는 것은 아닐지 늘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보령해저터널은 국내에서 가장 최근에 완공된 해저터널이다. 이 터널은 국내에서 가장 길고,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긴 해저터널이다. 그런데 한 시민이 이곳을 지나던 중 벽에 물기가 가득한 것을 보고 물이 새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되어 터널 관리 부서에 민원을 넣었다고 하는데, 담당 부서의 조치가 오히려 불안감을 가중 시켰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일까?

갑자기 말 바꾼 터널 관리소장
불안감만 가중시켜

처음 제보자가 통합관리센터 직원에게서 들은 답은 배수로를 통해 펌프로 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생긴 자국이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후 이 사실이 뉴스에 제보되자, 센터의 소장이 직접 연락하여 이는 직원의 실수이며, 터널 안에 위치한, 원산도로 가는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이라 설명했다.

하지만 실제로 두 답변 모두 사실이 아니었다는 것이 이후 밝혀지면서 시민들의 불안을 야기했다. 시민들은 이러한 현상에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민원에 대한 피드백이 꼬이게 된다면 부서의 전문성을 의심하게 되고, 이는 곧 시설의 유지와 안전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물 자국이 생긴 실제 원인은 무엇일까?.

관리자, 전문가의 분석
‘물 샌 건 아니다’

터널을 관리하는 대전국토관리청은 배수관 온도가 낮아 발생한 결로 현상이라고 답했으며, 시공사 역시 콘크리트에 맺힌 물이 수로를 타고 흐르면서 물 자국이 번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이는 터널의 안전과는 무관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하지만 이유가 어떻든, 해저터널이라는 공간의 특성상 물 자국이 남아있는 것이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줄 가능성이 있고, 이는 자칫 운전을 산만하게 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 시공사, 대전국토관리청에서는 이를 개선, 물이 번지지 않도록 수로 시공을 약속했다.

끝까지 신고하고 조사한 제보자
‘시민의식 대단하다’

시민들은 자신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의문점을 담당 기관에 문의할 권리가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이를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지만, 이 제보자는 단순히 의문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정식으로 기관에 문의하여 개선까지 이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네티즌들은 해저터널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난스럽게 보일지라도 안전에 반드시 신경 써야 한다는 의견을 공통적으로 남겼다. 또한 해당 제보자의 시민의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답변에도 네티즌들은 많은 공감을 보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6
+1
2
+1
11
+1
13
+1
5

13

  1. 기레기 호루셰끼야
    제목은 내용의 대표성을 가져야한다고 몇번을 말하니?
    프랑스처럼 언론인 총살한번 해야지 쓰례기들제목장난질이 고쳐지지

    결론이 결로면
    “보령해저터널 침수논란은 결로인 것으로 확인” 같이 써야지
    누수인것처럼 제목써서 낚시하냐?

    십알아 기사쓰는게 디씨인사이드 글싸지르는건 같지?

    참 혁명마렵다

    응답
  2. 현대 믿고 국가 사업 발주 주기가 민망하다 광주 아파트사고 보령 해저 터널 무섭다 자동차도 비싼 갑어치 모하고 대기업이 이정도야 민망스럽다 ㄱ어구정동 현대 건설 믿을수 있을까

    응답
  3. 현대 믿고 국가 사업 발주 주기가 민망하다 광주 아파트사고 보령 해저 터널 무섭다 자동차ㅓ도 비싼 갑어치 모하고 대기업이 이정도야 민망스럽다 ㄱ어구정동 현대 건설 믿을수 있을까

    응답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