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자주 접한다
자동차 피시테일 현상
대체 정체가 무엇인가
운전하다 보면 별별 현상을 겪게 된다. 개중에는 단순 해프닝으로 여기며 웃어넘길 수 있는 현상이 있고, 정말 목숨까지 위협받았다고 느끼는 현상이 있다. 오늘 이야기해 볼 현상은 안타깝게도 후자에 속한다.
여러분들은 “피시테일 현상”을 알고 있는가? 운전자 대다수가 겪으면 깜짝 놀라게 된다는 피시테일 현상.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피시테일 현상의 의미와 발생하게 되는 원인, 또 피시테일 현상 예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한다.
피시테일 현상은
대체 어떤 현상인가
피시테일 현상은 자동차 뒷부분이 좌우로 심하게 요동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자동차 뒷부분이 요동치는 모습이 마치 물고기가 꼬리지느러미를 흔드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해 피시테일 현상이라 부르는 것이다.
피시테일 현상은 자동차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한 현상 중에서도 매우 위험한 현상으로 취급받는다. 도로에서 좌우로 휘청거리다가 차체 방향이 꺾여 주변 자동차와 충돌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피시테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피시테일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피시테일 현상이 발생하는 정확한 이유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자동차 뒷부분의 접지력이 앞부분보다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지긴 했다.
이에 대다수 전문가는 엔진 등의 주요 부품들이 차체 앞쪽에 있으므로 속도가 올라갈수록 차량의 아랫부분으로 공기가 흘러 들어가고, 이때 발생하는 부력으로 인해 자동차 뒷부분이 뜨게 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피시테일 현상이 대부분 전륜구동 방식의 승용차에 일어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 추측이라고 보인다.
피시테일 현상
이렇게 예방하자
그렇다면 피시테일 현상을 예방하는 방법으론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당연한 말이겠지만 과속과 빠른 방향 전환을 하면 안 된다. 과속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방향을 전환하다 보면 한쪽 타이어에 하중이 집중되게 되고, 결과적으론 차체가 방향을 잃기 쉬워지기 때문.
또한 주기적으로 타이어를 점검해 줘야 한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마모가 심하면 노면 접지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피시테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타이어에 청킹 현상은 없는지도 함께 확인을 해줘야겠다.
만약 여러분들이 운전하다가 피시테일 현상을 겪게 됐다면, 절대로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안 되겠다. 차체가 흔들리는 만큼 급브레이크는 방향을 꺾이게 만드는 요소 작용할 수 있다. 피시테일 현상이 일어났다면 당황하지 말고 뒷부분 노면 접지력이 회복될 때까지 자동차가 꺾이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가며 속도를 천천히 줄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