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회 시작 알릴 WBC
남녀 첫 동반 16강 도전
이강인 활약 항저우에서도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이 지난해 전 세계를 뜨겁게 달궜다면, 새해가 시작된 2023년 역시 지구촌을 들썩일 만한 국제대회가 즐비해 있다. 가장 먼저 펼쳐질 세계야구클래식(WBC)을 시작으로 2023 FIFA 여자 월드컵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한 차례 미뤄졌던 항저우 아시안게임 등이 기다리고 있어 스포츠계는 분주한 1년을 보낼 전망이다.
특히 야구는 올해에만 무려 3개의 국제대회가 열려 야구 팬들은 늘어난 볼거리로 벌써부터 설렘이 가득하다. 이에 선수들 역시 진천선수촌에서 각종 대회 준비로 몸을 예열하고 있다. 몇몇 선수들은 2022년에 세운 자신의 기록을 뛰어넘기 위한 강도 높은 훈련을 보여주곤 하는데, 과연 2023년에 열릴 국제대회에서 주목해야 할 선수가 누구인지 알아보자.
WBC를 시작으로
아시안게임과 APBC
오는 3월에 개막하는 제5회 WBC는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이 주최하는 국가대항전으로, 야구 대회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무엇보다 전 세계 최고 야구 리그인 MLB 소속 선수들이 자신의 나라를 대표해 최고 자리를 다투기에, 월드컵만큼이나 짜릿한 순간을 제공한다.
게다가 이번 WBC는 2017년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6년 만에 개최돼 많은 야구 팬들의 최대 관심사다. 한국은 2006년 초대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는데, 2009년에서는 준우승을 거두며 세계 야구 강대국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한국 야구는 이후 2013년과 2017년에는 2연속 1라운드 탈락은 물론 2020 도쿄올림픽에서 전제 6개 팀 중 4위를 차지해 추락세를 달리고 있다. 지난달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3428점으로 세계랭킹 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직전 발표보다 한 계단 추락한 순위다.
이로써 발등에 불이 떨어진 한국 야구는 올해 3개 국제대회를 통해 반등이 절실한 상황인 셈이다. 이강철 KT위즈 감독이 이끄는 이번 WBC는 다음달 8일 최종 엔트리 30명을 확정하고 2월 14일을 기점으로 2주간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전지훈련을 할 계획이다. 이후 3월 초 귀국 후 일본 오사카로 넘어갈 예정인데, 이의리(기아 타이거즈), 소형준(KT위즈), 구창모(NC다이노스) 등의 젊은 선수들이 최종 엔트리에 대거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제무대 경험이 있는 김광현, 최정(SSG), 오지환, 김현수, 정우영(LG트윈스), 양의지(두산 베어스), KBO 5관왕을 기록한 이정후(키움)와 거포 나성범(KIA)이 지원 사격에 나선다. 또한 메이저리거에서 활약 중인 김하성(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최지만(피츠버그 파이어리츠) 그리고 한국계 출신인 토미 에드먼(세인트루이스)이 힘을 보탤 전망이다.
여름을 더 뜨겁게 만들
FIFA 여자 월드컵
콜린 벨 감독이 이끄는 여자 축구대표팀은 2022 카타르 월드컵의 감동 재현에 나선다. 지난해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에서 역사상 첫 준우승을 차지한 여자 축구대표팀은 이번 2023 호주·뉴질랜드 월드컵을 통해 3회 연속 본선 진출을 성공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이어 7월 20일 올해 막을 올리는 이번 월드컵에서 여자 축구대표팀은 1차 목표는 단연 16강 진출이다. 다만 남자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32개국이 본선에서 경쟁을 펼치게 되는 만큼,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무엇보다 여자 축구대표팀은 월드컵 통산 2회 우승을 한 독일과 모로코, 콜롬비아와 함께 H조에 속해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만약 여자 축구대표팀이 조별리그를 뚫고 16강에 진출할 경우 한국 축구 사상 첫 남녀 동반 16강 진출이라는 새 역사를 쓰게 된다.
항저우아시안게임을
빛낸 한국 스타선수들
마지막으로 살펴볼 2023 국제대회는 항저우아시안게임이다. 당초 지난해에 막을 올렸어야 했지만, 개최지인 중국 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길어지며 오는 9월로 미뤄진 것. 이로써 아시안게임은 내년으로 다가온 2024 파리올림픽 전 최종 무대가 됐는데, 총 40개 종목에서 금메달 482개를 놓고 선의의 경쟁을 펼친다.
특히 아시안게임은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될 경우 군면제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스페인에서 맹활약 중인 이강인(마요르카)이 군면제를 받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는데, 황선홍 감독은 그런 이강인을 “차출 계획이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로써 아시안게임이 있기 전 이강인은 큰 부상이라는 변수만 없다면 카타르 월드컵에 이은 또 한 번 한국의 위상을 드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야구 스타 이정후 역시 대표팀으로서 금메달 사냥에 나선다. 그는 올 시즌을 끝으로 빅리그 진출을 선언했기에, WBC를 비롯한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에서 MLB 구단주들에게 눈도장을 찍을 예정이다. 프로종목 외에도 한국 육상의 새역사를 쓰고 있는 우상혁과 수영에는 황선우, 기계체조의 여서정 등이 2023년을 빛내기 위한 막바지 준비를 마치고 있다.